설정 탭
이 설정 프로세스를 통해 성과 목표를 정의하고, 이를 다양한 역할에 맞게 재사용 가능한 세트(템플릿) 로 구성하며, 적절한 팀에 성과 추적 책임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.
목표(Goals): 조직 전체에서 모니터링할 핵심성과지표(KPI) 및 해당 지표의 목표 수치를 설정합니다.
템플릿(Templates): 역할에 맞게 모아둔 KPI 모음(템플릿)을 확인하고 해당 템플릿의 구성 KPI를 추가/삭제 합니다.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, 재무 등 특정 부서의 책임과 기능에 최적화된 KPI 세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.
그룹(Groups): 마지막 단계로, 조직 구조에 맞게 구성된 사용자 그룹에 KPI 템플릿을 할당합니다. 이를 통해 책임 소유권을 위임하고 성과에 대한 명확한 책임 체계를 확립할 수 있습니다.
이 단계에서는 사용 가능한 모든 지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고, 그중에서 가장 관련성 높은 KPI를 선택한 뒤, 각 KPI에 대해 구체적인 성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검색창(Search Bar): KPI 라이브러리 내에서 특정 KPI를 이름으로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. 검색 필드에 KPI 이름을 입력하세요.
확정됨/미확정(Confirmed/Unconfirmed): 미확정 KPI는 기본값 상태이며. KPI 아이템 카드를 클릭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 후, 목표 수치를 정하고, 저장하면 확정(Confirmed) 상태로 전환됩니다.
수정 아이콘: 연필 아이콘을 클릭 시, 해당 KPI의 상세 설정 화면이 윙팝업으로 열립니다. 여기에서 KPI의 속성을 검토하고, 정확한 성과 목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.
KPI 상세정보 (KPI Information):
상단 섹션에서는 해당 KPI 아이템을 클릭하면 해당 지표의 자세한 정보 요약 윙팝업을 제공합니다. 업무 상황에 따라 ‘우선순위(Priority)’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.
설명(Description): 이 지표가 무엇을 측정하는지에 대한 간결한 설명입니다.
카테고리(Category): 해당 KPI가 속한 FinOps 영역입니다 (예: 요율 최적화, 워크로드 최적화 등).
수식(Formula): KPI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공식입니다.
데이터 소스(Data Source): KPI 계산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출처입니다 (예: CSP 청구 데이터 등).
효과(Effect): 이 지표의 성과가 향상될 경우 비즈니스 또는 운영 측면에 미치는 영향입니다.
우선순위(Priority): 해당 KPI의 업무 중요도(높음, 보통, 낮음)를 설정하여 필터링 및 리포팅 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 주기(Data Interval): KPI 데이터가 계산 및 업데이트되는 빈도입니다.
연관 기능(Related Features): 해당 KPI가 OpsNow 메뉴 내에서 어떤 기능과 관련되어 있는지 보여줍니다.
담당자(Persona): 해당 KPI에 대해 책임을 맡기에 적합한 역할 또는 사용자 유형을 제안하여 명확한 책임 구분을 지원합니다.
KPI 목표 설정 (KPI Goal Setting):
윙팝업 하단 섹션에서는 해당 KPI의 성과 목표를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.
AI 추천(AI Advice): 과거 3개월의 성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실적인 시작 목표를 자동으로 제안해줍니다. 기존 옵스나우 사용자에게만 제공됩니다. 신규 사용자는 과거 사용 데이터가 없어 추천값이 없을 수 있습니다.
KPI 목표 설정:
‘목표값(Target Value)’ 입력 필드에 이 KPI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숫자 목표를 입력합니다. ‘허용 오차(Tolerance)’ 필드에 목표값에서 허용 가능한 편차(%)를 입력합니다.
시스템은 입력한 수치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‘허용 범위 (Acceptable Range)’를 계산하여 보여줍니다. 이 값이 해당 KPI가 "성공 (Pass)" 상태로 간주되는 기준이 됩니다.
모든 설정을 검토한 후 [확정] 버튼을 클릭하면, 선택한 KPI에 대한 목표 설정이 적용됩니다.
Last updated